장비명 | 후육관 용접(Laser+MIG) 시스템 | 모델명 | Trudisk 8001 |
---|---|---|---|
제작사 | 독일, Trumpf | 도입시기 | 2021년 |
설치장소 | 포항 포미아강관기술센타 실험실(1층) | ||
장비외관 및 사진 |
![]() |
||
기기사양 | • Yb:YAG Disk LASER(8kW) : 광케이블(LLK) 직경 0.2~06mm, 레이저 내부 광케이블 4개 분기 시스템 내장, 실시간 레이저 출력 제어 시스템(출력 안정도±1 이내), Cu/Al 발진기 구조, 레이저 관련 헤드와 로봇 탈부착 기능 • 레이저하이브리드 용접헤드 : 로못 마운드/슬라이딩 기능 지원, 레이저 광학계 장착 가능, 수냉식 용접토치 장착, 에어커튼 및 퓸 제거기능 제공, 3축으로 열원의 거리/위치 이동 • MIG 용접기 및 와이어 피더 : 디지털 인버터 방식 파워소스, 독립형 와이어 피더, 핫와이어 모드 지원, 리모트 컨트롤 유닛, 이더넷 통신 지원, 용접조건 모니터링 시스템 • 용접 로봇 : KR 150 R2700 extra(Handing용 정밀 타입), KR C4 Controller, KUKA Control Panel : 8.4“ Color LCD Display 터치, SmartPAD 10m↑ Cable, 7m↑ Connection, Cable (Robot to Controller), 로봇 제어반(6축 개별 서보팩 모듈, 고사양 메모리, 하드 장착) • 레이저용접 안전룸 : 레이저 룸, 안전 도어락, 집진장치(7.5HP), 공정모니터링 시스템 |
||
특성 또는 활용분야 | • 레이저 용접의 장점과 아크(MIG) 용접의 장점을 하이브리드한 용접 - 레이저는 심의 폭에 비해 용입이 깊기 때문에 열영향부를 매우 좁게 형성하며, 레이저 용접은초점의 직경이 좁아 갭-용접접합성은 떨어지지만 고속용접 속도 가능 - 에너지 밀도가 낮은 MIG용접의 경우 소재표면의 초점을 넓게 해서 갭에 대한 유연성과 용접 접합성이 레이저용접보다는 우수. 용착량 확보에 유리 • 레이저하이브리드 용접기술을 이용하여 후육 강관 고속용접 현장 적용 검토 • 후육/고강도 강관에 대한 레이저하이브리드 용접성 평가 - 제품 별 공정 용접조건(출력, 초점 등) 도출 및 DB 구축을 통한 선진기술 도입 유도 • 광케이블 다중 시스템 활용을 통한 강관 클래딩/절단 등 다양한 측면에서의 기술개발 활용 • 강관사 위주의 대형강관사에서 해외기술개발에 맞춰 제조공정에 레이저하이브리드 용접기술 적용 검토 중(초기 도입검토의 어려움으로 기술개발 어려움 호소) • 강관 제조사, Seam용접 및 클래드 등 관련 기술개발을 위한 연간 사용 약 640시간 사용예상 |
- 담당자
- 성명
- 연락처